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내일 전국 강추위, 전북 최대 40cm 폭설! 한파 대비하세요
반응형

 

전국적으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예상됩니다! 특히 전북 지역에는 최대 40cm의 폭설이 예보되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기온은 급격하게 떨어지고 강풍까지 더해져 체감 온도는 더욱 낮아질 전망입니다. 농작물, 시설물 피해 및 건강 관리에 유의하시고, 교통 안전에도 각별히 주의하세요. #한파 #폭설 #강추위 #대설 #기상특보 #전북폭설 #한파대비 #겨울날씨

전국적인 한파와 폭설 전망: 대비가 시급합니다!

전국적인 한파와 폭설 전망: 대비가 시급합니다!

 

북서쪽에서 남하하는 찬 공기와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 한파주의보가 발령되었습니다. 내일 아침부터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중부지방과 전북 내륙, 경북 북부 내륙은 오늘보다 최대 10℃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의 아침 기온은 영하 6℃까지 떨어지겠고, 경기 북동부와 강원 내륙·산지는 영하 12℃ 이하로 떨어지는 극한 추위가 예상됩니다.🥶 부산과 광주도 영하권으로 진입하며 전국이 꽁꽁 얼어붙겠습니다. 게다가 강풍으로 인해 체감 온도는 더욱 낮아질 것으로 보여,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이번 한파는 최소 4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11일 낮부터 기온이 차츰 회복될 것으로 보입니다.

강풍과 폭설에 대한 대비도 필요합니다!

충남과 전라권, 제주도 산지를 중심으로 많은 눈이 예상됩니다. 충남 3~10cm, 전북 5~15cm, 전남 3~10cm, 제주도 산지 5~10cm의 적설량이 예상되는 가운데, 특히 전북 서해안과 전북 남부 내륙, 광주·전남 북부, 제주도 산지 의 많은 곳은 각각 20cm, 15cm, 15cm 이상 의 폭설이 쏟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수도권에도 1mm 내외의 비나 1cm 내외의 눈이 내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시간당 대설특보급의 눈이 내릴 수도 있다는 예보에 따라, 젖은 눈이든 마른 눈이든 관계없이 시설물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특히 비닐하우스 붕괴 위험이 높으니 농가에서는 각별한 주의 가 필요합니다. 경상권 동해안에는 순간풍속 70km/h 이상의 강풍이 예상되어 시설물 피해 및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도시별 기상 정보 및 한파 특보 발령

주요 도시별 기상 정보 및 한파 특보 발령

 

주요 도시의 최저 기온은 서울 영하 6℃, 부산 영하 6℃, 광주 영하 6℃로 예상됩니다. 경기 북동부와 강원 내륙·산지는 영하 12℃ 이하로 떨어지겠습니다. 이번 한파는 11일 낮부터 기온이 회복될 때까지 최소 4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7일부터 11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 한파특보가 발효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서울 지역에도 8일 한파 특보가 발표되고 9~10일 발효될 전망입니다. 장기간 한파가 이어지므로 건강 관리와 시설물 관리에 철저히 대비해야 합니다.

해상 안전 및 미세먼지 정보

10일까지 해상에서는 3m 이상의 높은 파고가 예상되므로 해상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합니다. 소형 선박 운항에 주의하고, 해안가 저지대에서는 월파 피해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국적으로 '나쁨'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어 호흡기 질환자는 건강 관리에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도 함께 필요합니다.

한파 및 폭설 대비 요령: 안전하게 겨울나기

한파 및 폭설 대비 요령: 안전하게 겨울나기

 

이번 한파는 강력한 추위와 폭설을 동반하므로 철저한 대비가 중요합니다. 아래의 한파 대비 요령을 숙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합시다.

가정에서의 한파 대비

  • 겹쳐 입기: 내복이나 얇은 옷을 여러 겹 착용하여 체온 유지에 힘쓰세요.
  • 수도관 동파 방지: 수도계량기에 보온재를 꼼꼼히 덮어 동파를 예방하고, 장시간 외출 시에는 실내 온도를 10~15℃로 유지하세요.
  • 난방기구 사용 주의: 난방기구 사용 시 화재 예방에 유의하고, 환기를 자주 시켜 일산화탄소 중독을 예방하세요.

농·축산업 분야의 한파 대비

  • 시설물 점검 및 보강: 비닐하우스, 축사 등 시설물의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필요시 보강 조치를 취하세요. 특히 폭설에 대비하여 지붕 제설 작업을 철저히 하세요.
  • 작물 보온: 작물의 동해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보온덮개나 방풍망을 설치하고,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살수 작업으로 냉해를 방지하세요.
  • 가축 관리: 축사 내부 온도 유지에 힘쓰고, 적절한 환기로 가축의 건강을 관리하세요. 사료와 물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미리 충분히 준비해 두세요.

산업 현장에서의 한파 대비

  • 작업장 안전 점검: 공장, 건설 현장 등 작업장의 안전 점검을 철저히 실시하고,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세요.
  • 근로자 건강 관리: 근로자들에게 방한복, 안전모, 장갑 등 보호 장구를 지착하도록 하고, 충분한 휴식 시간을 제공하여 저체온증, 동상 등 한랭질환을 예방하세요.
  • 야외 작업 주의: 야외 작업 시에는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세요. 특히 고소 작업이나 굴착 작업 시에는 안전 장비를 철저히 점검하고 사용하세요.

교통 안전 대책

  • 대중교통 이용 권장: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자가용 운전은 자제하세요.
  • 차량 점검: 자가용 이용 시 스노우체인, 부동액 등 차량 월동장비를 점검하고, 타이어 공기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세요.
  • 안전 운전: 감속 운행, 안전거리 확보 등 안전 운전 수칙을 준수하고, 블랙아이스 등 도로 결빙 구간에서 각별히 주의하세요. 폭설 시에는 가시거리가 짧아지므로 전조등을 켜고 운행하세요.

기상 상황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기상청 등 공신력 있는 기관의 예보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주변 사람들과 함께 안전하게 이번 한파를 극복해 나가도록 합시다!

 

반응형